banner
홈페이지 / 블로그 / 환자를 이용한 악안면골 결손의 재건
블로그

환자를 이용한 악안면골 결손의 재건

Jun 10, 2023Jun 10, 2023

Scientific Reports 12권, 기사 번호: 7538(2022) 이 기사 인용

7629 액세스

10 인용

1 알트메트릭

측정항목 세부정보

본 후향적 연구의 목적은 장기 추적 관찰을 통해 환자 맞춤형 악안면 뼈 임플란트의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는 것입니다. 다양한 악안면 결손을 가진 총 16명의 환자에게 환자 맞춤형 티타늄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재건술을 시행하였습니다. 전자빔 용해, 선택적 레이저 소결 또는 밀링을 통해 제조된 티타늄 임플란트를 상악, 하악 또는 광대뼈에 삽입했습니다. 수술 후 장기추적관찰(36.7±20.1개월)을 실시하였다. 티타늄 임플란트 본체의 골융합, 수술 후 감염, 임플란트 부정유합, 기능적 결과, 환자 만족도, 침강, 임플란트 주변 골용해, 합병증 등을 최종 추시 시 기록 분석하였다. 28개의 임플란트 중 단 하나만 뼈와 결합하지 못했습니다. 따라서 재수술을 시행하였습니다. 티타늄 임플란트 주변의 골용해나 침강이나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만족도에 대한 평균 VAS 점수는 9점이었습니다. 본 시험에 등록한 모든 환자는 수술 결과에 대해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했으며, 고정 실패 및 심미적 불만족 합병증도 잘 해결되었습니다. 환자 맞춤형 티타늄을 다양한 구강 및 악안면 결손 치료에 사용했을 때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3D 프린팅된 티타늄 임플란트는 기증 부위 이환율 없이 자가 뼈 대신 광대뼈와 하악골을 재건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두개골을 구성하는 다양한 뼈 중 상악골, 하악골, 광대뼈 복합체는 얼굴 모양의 윤곽을 결정하고 저작을 가능하게 하는 골격 부분입니다1. 크루존 증후군이나 트레처-콜린스 증후군, 편측안면소체증 등 안면 골격에 선천성 두개안면 기형이 발생하거나 외상이나 종양으로 인한 후천적 결함이 있는 경우 안면 부조화, 안면 비대칭, 저작 문제 등 심미적, 기능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자가골 이식이나 임플란트 식립은 이러한 결손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주요 방법입니다. 자가 뼈 이식편은 광범위하게 생체 적합합니다. 그러나 기증 부위 이환율, 수술 실패, 재수술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3. 임플란트 식립에는 기증자 부위 이환율이 없습니다. 그러나 재료에 따라 생체적합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재료비에 따른 수술비용의 증가도 있을 수 있다4. 또한 두 방법 모두 기존 수술 방법에서는 결함 중심이 아닙니다. 따라서 수술 후 잔여 안면 부조화를 피할 수 없습니다.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구강악안면외과 분야의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예를 들어, 콘빔 컴퓨터 단층촬영(CBCT), 컴퓨터 보조 설계(CAD), 컴퓨터 보조 제조, 3차원(3D) 프린터의 확산과 발전으로 정확하고 빠른 수술이 가능해졌습니다5. 3D 프린터의 경우 초기에 가능했던 레진 소재와 달리 현재는 이미 생체적합성이 검증된 티타늄 소재를 치과용 임플란트로 프린팅하는 것이 가능하다6,7.

본 논문은 다양한 선천적, 후천적 원인으로 인한 상악, 하악, 광대뼈 결손 부위에 환자 맞춤형 티타늄 임플란트를 적용한 장기 추적 임상 결과를 보고한다. 일차 결과 변수는 임플란트와 뼈 사이의 뼈 융합이었습니다. 2차 결과인 수술 후 감염 여부 검색, 만족도 평가, 골용해, 티타늄 임플란트 침하 및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총 16명의 환자(여성 7명, 남성 9명)가 포함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32.3 ± 14.9세(범위, 9~78세)였습니다. 수술 후 평균 36.7 ± 20.1개월(범위, 8~79개월) 동안 환자를 추적 관찰했습니다. 평균 48개월의 관찰기간 동안 턱뼈재건술을 받은 환자 5명 중 1명에서 나사골절이 발견되었다. 광대뼈재건술을 받은 환자 5명 중 2명은 평균 28개월의 관찰기간 동안 심미적인 불만족으로 재수술을 받았다. 이전 성형수술로 인한 과도한 골결손을 임플란트로 재건한 6명의 환자에서는 20개월간 부작용이 없었다.

 50% of the total interface area where the implant meets the bone without osteolysis. Osteolysis around the implants and subsidence of surrounding bone were measured using axial, sagittal, and coronal cuts. In reconstruction using a titanium-mandibular body, including a dental implant, the degree of masticatory function was assessed using a chewing ability automatic analyzer (ANA-902, As One, Osaka, Japan). β-carotene gummy jelly, developed exclusively for the test device, was masticated by the patient 30 times and then placed in a beaker with an aqueous solution and loaded onto the test device (Fig. 1). After rinsing and dissolving β-carotene, the device automatically measured the surface area by measuring the β-carotene concentration, which changed according to the photometric voltage. As the jelly’s surface area increased, the red light’s mean voltage decreased. The measured voltage was converted into the surface area of the device using an equivalent ratio. The derived surface area was used as a masticatory function measure./p>